자바스크립트 변수_js
2021. 12. 16. 09:22ㆍksmart_html_css_js/JavaScript
728x90
- 메모리 공간을 만들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
- 변수 선언은 var(동일한 변수 허용)나 let(동일한 변수 허용x) 키워드로 선언한다.
- 자료형은 값에 의해 결정이 된다.
- 자료형에 기본형은 문자형, 숫자형, 논리형이 있다.
-자료형을 확인하는 키워드는 typeof 키워드 이다.
- 자바스크립트의 변수 기본값은 undefined 이다.
- 변수명(식별자)에는 예약어를 사용할 수 없다.
예약어 ->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고 있는 키워드(토큰)
var return =''; 사용 불가
- 변수명에는 숫자가 처음에 나올 수 없다
- 변수명에는 특수기호는 사용 할 수 없다.(단 $, _기호 사용 가능)
- 상수는 const 라는 키워드로 선언한다.
var
|
변수 선언 키워드
|
str01
|
변수명(식별자)
|
=
|
대입 연산자
|
결과
|
str01 변수를 만들고 (메모리 생성) 값을 ''(공백) 삽입
|
var str01='';
- 좌 결과 = 우 : 연산
문자형_문자형은 '' 나"" 로 시작하고 닫는다
var str01='홍길동';
console.log(str01,typeof str01);
var str02="이순신";
console.log(str02,typeof str02);
var str03='"'';
console.log(str03,typeof str03);
숫자형
var num01=10;
console.log(num01, typeof num01);
논리형
var bool01=false;
console.log(bool01, typeof bool01);

- 변수 선언 이후 목적에 맞는 값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기본값 undefined
var unde01;
console.log(unde01, typeof unde01);
null -> 변수와 연결된 객체를 연결 해제 할 때
var null01=null;
console.log(null01, typeof null01);
예약어 테스트 - 변수명으로 사용 불가능
var if=0;
var return=10;
상수
const con01='홍길동';
console.log(con01, typeof con01);
const con01='홍길동';
console.log(con01, typeof con01);
const con01='이순신';

728x90
'ksmart_html_css_js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산자2_js (0) | 2021.12.16 |
---|---|
연산자_js (0) | 2021.12.16 |
변수 표기법_js (0) | 2021.12.16 |
Let, Var_js (0) | 2021.12.16 |
자바 스크립트 시작하기_js (0) | 2021.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