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자2_js

2021. 12. 16. 12:08ksmart_html_css_js/JavaScript

728x90
비교 연산자

- 크다, 작다, 같다, 같지않다. 와 같이 비교 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

- 비교 이후 결과값은 논리형(true or false) 이다.

- 숫자형에 비교 할 수 있는 비교 연산자 >, <, >=, <=, ==, !=

- 숫자형 이외 비교 할 수 있는 비교 연산자 ==, !=

- 자료형과 값을 비교 할 수 있는 연산자 ===, !==

var n01=10;
var n02=9;
console.log(n01>n02);
console.log(n01<n02);
console.log(n01>=n02);
console.log(n01<=n02);

var str01='한국';
var str02='스마트';
console.log(str01==str02);
console.log(str01!=str02);

var bool01 = str01 == str02;

=== str03 은 문자열10, str04 는 정수 10이므로 false가 나온다

var str03='10';
var str04=10;
console.log(str03==str04,'"10"==10');
console.log(str03===str04,'"10"===10');

논리 연산자

- 두 조건 이상이 모두 참인지 거짓인지 비교하는 연산자

- && -> and 두 조건 이상 모두가 참이여야 결과값이 참

- 모두 true여야 결과값이 true

console.log(true&&true&&true,'true&&true&&true');
console.log(true&&false&&true,'true&&false&&true');

- || -> or 두 조건 중 하나라도 참이면 결과값이 참

console.log(true||true||true,'true||true||true');
console.log(true||false||false,'true||false||false');
console.log(false||false||false,'false||false||false');

결과값은 논리형이다.

var nn01=10;
var nn02=10;
var nn03=0;
console.log(nn01==nn02&&nn01==nn03,'nn01==nn02&&nn01==nn03');
console.log(nn01==nn02||nn01==nn03,'nn01==nn02||nn01==nn03');

- ! -> not 최종 결과값의 반대

console.log(!(nn01==nn02)||nn01==nn03,'!(nn01==nn02)||nn01==nn03');
console.log(!(nn01==nn02)&&nn01==nn03,'!(nn01==nn02)&&nn01==nn03');

console.log(!true);

var bool02=false;
console.log(!bool02);

삼항 조건 연산자

- 한 줄로 if else의 비교

var bool03=10>9? '참입니다.':'거짓입니다.';
console.log(bool03,'삼항연산자');

삼항 조건 연산자_안 좋은 예
var nn01=10;
var nn02=10;
var nn03=20;

var result=nn01==nn02?
	nn01==nn03?'참입니다.':'거짓입니다.':
	nn02==nn03?'참입니다.':'거짓입니다.'
console.log(result);
728x90

'ksmart_html_css_js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어문_선택문(switch)_js  (0) 2021.12.18
제어문-조건문,반복문_js  (0) 2021.12.18
연산자_js  (0) 2021.12.16
변수 표기법_js  (0) 2021.12.16
Let, Var_js  (0) 2021.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