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 객체의 메서드 및 속성_js
2021. 12. 24. 19:14ㆍksmart_html_css_js/JavaScript
728x90
join(연결문자) | 배열 객체의 데이터를 연결 문자 기준으로 1개의 문자형 데이터로 반환 |
reverse() | 배열 객체의 데이터 순서를 거꾸로 바꾼 후 반환 |
sort() | 배열 객체의 데이터 오름차순으로 정렬 |
slice(index1,index2) | 배열 객체의 데이터 중 원하는 인덱스 구간만큼 잘라서 배열 객체로 가져옴 |
splice() | 배열 객체의 지정 데이터를 삭제하고 그 구간에 새 데이터 삽입 |
concat() | 2개의 배열객체를 하나로 결합 |
pop() | 배열에 저장된 데이터 중 마지막 인덱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 |
push(new data) | 배열 객체의 마지막 인덱스에 새 데이터 삽입 |
shift() | 배열 객체에 저장된 데이터 중 첫번째 인덱스에 저장된 데이터 삭제 |
unshift(new data() | 배열 객체의 가장 앞의 인덱스에 새 데이터 삽입 |
length | 배열에 저장된 총 데이터의 개수 반환 |
var arr1=['사당','교대','방배','강남'];
var arr2=['신사','압구정','옥수'];
join
var result=arr1.join();
사당, 교대, 방배, 강남
concat
result=arr1.concat(arr2);
slice
result=arr1.slice(1,3);
sort
arr1.sort();
console.log(arr1);
splice
var arr3=['교대','방배','강남'];
arr3.splice(2,1,'서초','역삼');
console.log(arr3);
arr3.splice(2번 인덱스부터, 1개의 데이터 삭제, 뒤 '서초' 추가,뒤 '역삼' 추가);
pop
var data1=arr3.pop();
console.log(data1);
배열 마지막 인덱스 데이터를 data1에 저장
출력값: 강남
shift
var data2=arr3.shift();
배열 0번째 인덱스의 데이터를 data2에 저장
728x90
'ksmart_html_css_js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_js (0) | 2022.01.30 |
---|---|
제어문-반복문(while)_js (0) | 2022.01.30 |
날짜관련 메서드_js (0) | 2021.12.24 |
객체_js (0) | 2021.12.18 |
크로저_js (0) | 2021.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