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92)
-
연산자2_js
비교 연산자 - 크다, 작다, 같다, 같지않다. 와 같이 비교 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 - 비교 이후 결과값은 논리형(true or false) 이다. - 숫자형에 비교 할 수 있는 비교 연산자 >, =, n02); console.log(n01=n02); console.log(n01 and 두 조건 이상 모두가 참이여야 결과값이 참 - 모두 true여야 결과값이 true console.log(true&&true&&true,'true&&true&&true'); console.log(true&&false&&true,'true&&false&&true'); - || -> or 두 조건 중 하나라도 참이면 결과값이 참 console.log(true||true||true,'true||true||true'); cons..
2021.12.16 -
증감 연산자 실습_js
아래의 증감 연산자 코드를 확인하고 ? 들어갈 값 혹은 증감 연산자를 기입하라 script type="text/javascript"> var n01=10; var n02=?; console.log(n01,n02,'n01의 값 10, n02의 값 11'); var n03=10; var n04=?; console.log(n03,n04,'n03의 값 9, n04의 값 9'); 답
2021.12.16 -
대입 연산자 실습_js
아래의 대입 연산자 코드를 확인하고 ? 에 들어갈 값 혹은 복합 대입 연산자를 기입하시오. 답 var num01=0; num01 += 100; console.log(num01,'결과값 100'); var num02=50; num02/=5; console.log(num02,'결과값10');
2021.12.16 -
연산자_js
- 산술, 문자결합, 대입, 증갑, 비교, 논리, 삼항조건 산술 연산자 - 숫자의 연산처리 할 때 -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 var n01=10 + 3; console.log(n01,'10+3');//더하기 var n01=10 - 3; console.log(n01,'10-3');//빼기 var n01=10 * 3; console.log(n01,'10*3');//곱하기 var n01=10 / 3; console.log(n01,'10/3');//나누기 var n01=10 % 3; console.log(n01,'10%3');//나머지 문자 결합 연산자 - 문자와 문자를 결합 할 때 + 기호로 결합한다. - 문자형 + 문자형 이외의 결과값은 문자형이다. var str..
2021.12.16 -
변수 표기법_js
- 변수를 표기하는 방법(병수명 작성 방법) 카멜 표기법 - 처음 단어는 소문자로 시작, 다음 연결 단어의 첫글자만 대문자로 시작 - 자바스크립트, 자바 등에서 일반적인 변수명 표기 - html 요소의 속성 id값 지정 시 var memberName;//member와 name의 단어 조합 파스칼 표기법 - 처음 단어 첫글자만 대문자로 시작하며, 다음 연결되는 단어의 첫글자만 대문자로 시작 - 자바에서 클래스명 표기, 자바스크립트에서 생성자 함수명 표기 function MemberInfo(){ }//member와 info의 단어 조합 스네이크(언더바 표기법) - 단어와 단어 사이에 언더바로 구분하여 표기 var member_name;//단어 조합 헝가리안 표기법 - 카멜 표기법과 유사 - 처음 단어는 자료..
2021.12.16 -
Let, Var_js
- 변수 선언 시 사용하는 키워드 var - 동일한 변수명 선언 가능 - 호이스팅 사용 가능 -지역변수와 전역변수 var str01='홍길동'; console.log(str01); var str01='이순신'; console.log(str01); if(true){ var str03='ksmart'; } console.log(str03); var str04 if(true){ str04 ='ksmart.or.kr'; } let - 동일 변수명 사용 불가능 let num01=0; console.log(num01); let num01=0; console.log(num01); - 호이스팅 기술 미지원 console.log(num02); let num02=0; - 블럭 범위에 선언된 지역변수는 블럭 범위 밖에서 사..
2021.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