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mart_html_css_js(92)
-
연산자 실습_js
1. 학생 점수가 담긴 아래의 코드가 있다. 60점 이상의 점수를 가진 학생 수를 구하여 출력하라. 2. 전년도 연간 평균 매출과 월별 평균 매출이 적힌 코드가 있다. 상반기의 평균 매출이 전년도 연간 평균 매출 이상이라면, '평균 이상' 아니라면 '평균 이하' 문구를 출력하라. 1. 답 var nn=0; if(s01>=60){ nn++; } if(s02>=60){ nn++; } if(s03>=60){ nn++; } if(s04>=60){ nn++; } if(s05>=60){ nn++; } console.log(nn); 2. 답 var lyAvg=(n01+n02+n03+n04+n05+n06)/6 if(lyAvg>=nAvg){ console.log('평균이상'); }else{ console.log('평균 ..
2021.12.18 -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조건문 실습_js
1. 학생의 점수가 나열된 자바스크립 코드가 있다. 이 점수의 평균 점수가 60점 이상이면 "우수", 아니라면 "미흡"의 결과물을 출력 시키고, 이 점수 중 40점 미만 점수의 교과목이 있다면 과락으로 표기하도록 하여라. 2. 아래에 선언된 변수는 학생들의 평균 점수이다. 학생 점수가 30점 이상 60점 이하의 평균 점수를 가진 학생 수를 구하여라. 3. 한 학생의 점수를 담은 자바스크립트 코드가 있다. 60점 이상 교과목이 2개 이상이라면 "우수", 아니라면 "미흡" 결과를 출력하여라. 1. 답 var score01=60; var score02=30; var score03=70; var average=(score01+score02+score03)/3; if(score01=60){ ss++; } if(s..
2021.12.18 -
제어문-조건문,반복문_js
지역변수, 전역변수 블럭유효범위({} -> 블럭, 스코프)의 기준으로 지역변수, 전역변수로 나뉜다. 지역변수 : 블럭유효범위 내에서 선언된 변수 전역변수 : 블럭유효범위 밖에서 선언된 변수 지역변수 -> 블럭유효범위 밖에서 쓰일 수 없다. 전역변수 -> 블럭유효범위 내에서 사용 가능 조건문 if, else, else if의 키워드로 코드 흐름을 제어 if -> 조건식이 true일 경우 블럭유효범위내의 코드 실행 else -> if, else if 조건식이 flase일 경우 else의 블럭유효범위내의 코드 실행 else if -> if 구간이 false일때 else if의 조건식이 true일 경우 else if의 블럭유효범위내의 코드 실행 조건식 : 비교연산자, boolean, 비교연산자 + 논리연산자, ..
2021.12.18 -
연산자2_js
비교 연산자 - 크다, 작다, 같다, 같지않다. 와 같이 비교 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 - 비교 이후 결과값은 논리형(true or false) 이다. - 숫자형에 비교 할 수 있는 비교 연산자 >, =, n02); console.log(n01=n02); console.log(n01 and 두 조건 이상 모두가 참이여야 결과값이 참 - 모두 true여야 결과값이 true console.log(true&&true&&true,'true&&true&&true'); console.log(true&&false&&true,'true&&false&&true'); - || -> or 두 조건 중 하나라도 참이면 결과값이 참 console.log(true||true||true,'true||true||true'); cons..
2021.12.16 -
증감 연산자 실습_js
아래의 증감 연산자 코드를 확인하고 ? 들어갈 값 혹은 증감 연산자를 기입하라 script type="text/javascript"> var n01=10; var n02=?; console.log(n01,n02,'n01의 값 10, n02의 값 11'); var n03=10; var n04=?; console.log(n03,n04,'n03의 값 9, n04의 값 9'); 답
2021.12.16 -
대입 연산자 실습_js
아래의 대입 연산자 코드를 확인하고 ? 에 들어갈 값 혹은 복합 대입 연산자를 기입하시오. 답 var num01=0; num01 += 100; console.log(num01,'결과값 100'); var num02=50; num02/=5; console.log(num02,'결과값10');
2021.12.16